anaconda는 데이터 사이언스, 머신 러닝과 AI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패키지를 찾고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파이썬 배포판 플랫폼으로 오픈소스이다. 설치를 하면 command line 도구와 GUI로 된 Anaconda Navigator를 이용하여 환경과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1. https://www.anaconda.com/download 접속하여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이때 가입 폼이 있지만 Skip registration을 클릭하여 굳이 가입하지 않고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anaconda download

 
 
2. OS에 따라 설치 파일이 다르고, Mac의 경우 인텔 칩이냐 애플 실리콘 칩이냐 그리고 GUI가 있는 installer인지 command line installer인지 선택하여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설치 편의성을 위해 Graphical Installer를 다운로드 하였다.

anaconda installation on mac

 
 
3. Graphical Installer는 .pkg 파일이 다운로드 되니 더블 클릭하여 일반적인 맥용 설치 파일처럼 동의하고 패스워드 넣고 설치하면 된다. 설치를 하면 command line interface인 conda와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인 Anaconda Navigator를 이용하여 개발 환경과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anaconda distribution Graphical installer

 
 
4. 설치 후에 터미널에서 cond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설치가 다 되었음에도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lazy@MacBook-M1-Pro ~ % conda 
zsh: command not found: conda

 
이런 경우, 공식 가이드 문서 troubleshooting(https://docs.anaconda.com/reference/troubleshooting/#conda-command-not-found-on-macos-linux)에 보면 몇 가지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안내해 둔 내용을 참고하여 조치를 해보면 된다. 그 중 가장 손쉽게 해볼 수 있으면서도 유력한 원인은 anaconda 설치 후 shell을 새로 실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Conda: command not found on macOS

 
shell을 새로 열어 which conda를 해보거나 conda list와 같은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했을 때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ase) lazy@MacBook-M1-Pro ~ % which conda
conda () {
	\local cmd="${1-__missing__}"
	case "$cmd" in
		(activate | deactivate) __conda_activate "$@" ;;
		(install | update | upgrade | remove | uninstall) __conda_exe "$@" || \return
			__conda_reactivate ;;
		(*) __conda_exe "$@" ;;
	esac
}
(base) lazy@MacBook-M1-Pro ~ % conda list
# packages in environment at /opt/anaconda3:
#
# Name                    Version                   Build  Channel
_anaconda_depends         2024.10         py312_openblas_0

 
 단, 기본 터미널 쉘에서 conda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 conda config를 설정해야 한다.

(base) lazy@MacBook-M1-Pro ~ % conda config --set auto_activate_base false

구글 계정으로 클라우드 계정 생성을 한 적이 없다면, 90일 동안 300 달러에 해당하는 크레딧으로 무료 사용이 가능하다.

 

1. 구글 계정이 없다면 가입하여 계정 생성을 한다. 이미 계정 생성이 되어 있는데, 클라우드 계정은 등록한 적이 없다면 다음 단계로 이동한다.

 

2. cloud.google.com으로 접속한다. 아래와 같이 'Get started for free' 버튼이 보인다면, 아직 클라우드 계정 생성을 한 적이 없다는 것이므로 이 버튼을 클릭하여 무료 계정 사용을 시작한다.

Google Cloud 무료 계정

 

3. payment 정보를 입력하고 계정 생성을 완료한다. 이 과정에서 무료 사용 기한이 지나 유료 사용을 원하거나 무료 범위를 넘어선 리소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청구를 위한 정보이므로 신용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증을 요구한다.

 

4. 참고로 https://console.cloud.google.com/billing/overview?hl=ko에서 남은 크레딧이나 빌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글 클라우드 빌링 정보, 청구 금액, 무료 크레딧 정보

 

만약 homebrew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여 설치한다.

 

homebrew path 설정

맥북 M1에서 homebrew 설치를 했음에도 brew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lazy@MacBook-M1-Pro % brewzsh: command not found: brew  homebrew 사이트(https://docs.brew.sh/Installation)에 보면 Apple Silicon에서 기본 설치

lazytechlog.tistory.com

 

다음은 brew로 java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1. 터미널을 오픈하여 openjdk를 설치한다.

lazy@MacBook-M1-Pro % brew install openjdk
...
If you need to have openjdk first in your PATH, run:
  echo 'export PATH="/opt/homebrew/opt/openjdk/bin:$PATH"' >> ~/.zshrc

For compilers to find openjdk you may need to set:
  export CPPFLAGS="-I/opt/homebrew/opt/openjdk/include"
==> Summary
🍺  /opt/homebrew/Cellar/openjdk/23.0.2: 602 files, 337.8MB
==> Running `brew cleanup openjdk`...
Disable this behaviour by setting HOMEBREW_NO_INSTALL_CLEANUP.
Hide these hints with HOMEBREW_NO_ENV_HINTS (see `man brew`).

 

2. 환경변수에 java 설치 위치를 path 설정한다.

lazy@MacBook-M1-Pro % echo 'export PATH="/opt/homebrew/opt/openjdk/bin:$PATH"' >> ~/.zshrc
lazy@MacBook-M1-Pro % source ~/.zshrc

 

3. java 버전을 확인한다.

lazy@MacBook-M1-Pro % java -version
openjdk version "23.0.2" 2025-01-21
OpenJDK Runtime Environment Homebrew (build 23.0.2)
OpenJDK 64-Bit Server VM Homebrew (build 23.0.2, mixed mode, sharing)

node 버전별로 바꿔가며 동작시켜야 할 때를 위해 nvm을 먼저 설치하고, nvm을 통해 node를 설치한다. 이미 nvm이 설치되어 있다면, 1. nvm 설치 단계는 스킵하고 원하는 버전으로 node를 설치하면 된다.
 

1. nvm 설치

1.1 nvm 설치

lazy@MacBook-M1-Pro ~ % brew install nvm
...
You should create NVM's working directory if it doesn't exist:
  mkdir ~/.nvm

Add the following to your shell profile e.g. ~/.profile or ~/.zshrc:
  export NVM_DIR="$HOME/.nvm"
  [ -s "/opt/homebrew/opt/nvm/nvm.sh" ] && \. "/opt/homebrew/opt/nvm/nvm.sh"  # This loads nvm
  [ -s "/opt/homebrew/opt/nvm/etc/bash_completion.d/nvm" ] && \. "/opt/homebrew/opt/nvm/etc/bash_completion.d/nvm"  # This loads nvm bash_completion

You can set $NVM_DIR to any location, but leaving it unchanged from
/opt/homebrew/Cellar/nvm/0.40.1 will destroy any nvm-installed Node installations
upon upgrade/reinstall.

 
위와 같이 터미널에 안내된 것과 같이 설치 후 shell profile에 NVM_DIR을 설정해야 한다.
 
1.2 vi로 .zshrc를 연다.

lazy@MacBook-M1-Pro ~ % vi ~/.zshrc

 
1.3 환경 변수를 추가하고 :wq 치고 엔터

export NVM_DIR="$HOME/.nvm"
  [ -s "/opt/homebrew/opt/nvm/nvm.sh" ] && \. "/opt/homebrew/opt/nvm/nvm.sh"  # This loads nvm
  [ -s "/opt/homebrew/opt/nvm/etc/bash_completion.d/nvm" ] && \. "/opt/homebrew/opt/nvm/etc/bash_completion.d/nvm"  # This loads nvm bash_completion

 
1.4 설정한 환경 변수 적용

lazy@MacBook-M1-Pro ~ % source ~/.zshrc

 
 

2. Node 설치

2.1 최신 버전 node 설치

lazy@MacBook-M1-Pro ~ % nvm install --lts

 
2.2 설치 버전 확인은 node 명령어와 nvm 모두 이용하여 가능

lazy@MacBook-M1-Pro ~ % node -v
v22.13.1
lazy@MacBook-M1-Pro ~ % nvm current
v22.13.1

 
 

3. 자주 쓰는 NVM 명령어 옵션

3.1 node 버전 리스트 확인

lazy@MacBook-M1-Pro ~ % nvm ls 
->     v22.13.1
default -> lts/* (-> v22.13.1)
iojs -> N/A (default)
unstable -> N/A (default)
node -> stable (-> v22.13.1) (default)
stable -> 22.13 (-> v22.13.1) (default)
lts/* -> lts/jod (-> v22.13.1)
lts/argon -> v4.9.1 (-> N/A)
lts/boron -> v6.17.1 (-> N/A)
lts/carbon -> v8.17.0 (-> N/A)
lts/dubnium -> v10.24.1 (-> N/A)
lts/erbium -> v12.22.12 (-> N/A)
lts/fermium -> v14.21.3 (-> N/A)
lts/gallium -> v16.20.2 (-> N/A)
lts/hydrogen -> v18.20.6 (-> N/A)
lts/iron -> v20.18.2 (-> N/A)
lts/jod -> v22.13.1

 
3.2 node 특정 버전을 설치

lazy@MacBook-M1-Pro ~ % nvm install 20.18.2

 
3.3 사용할 node 버전을 변경

lazy@MacBook-M1-Pro ~ % nvm use 18.20.6

 

'Setting&Registration > Macbook M1 Sett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aconda 설치  (0) 2025.02.21
java 설치  (1) 2025.02.15
homebrew path 설정  (0) 2025.02.09

맥북 M1에서 homebrew 설치를 했음에도 brew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lazy@MacBook-M1-Pro % brew
zsh: command not found: brew

 

 

homebrew 사이트(https://docs.brew.sh/Installation)에 보면 Apple Silicon에서 기본 설치 위치는 /opt/homebrew이다. 맥 기본 쉘인 Z Shell에서 이 경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path를 지정해주면 해결된다.

 

1. 터미널을 연다

 

2. vi 편집기를 연다.

lazy@MacBook-M1-Pro % vi ~/.zshrc

 

3. .zshrc에 path 설정을 추가한다.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이 부분 추가

 

4. vi 편집기에서 설정을 추가했다면 :qw 입력 후 enter 키를 실행하여 편집기를 빠져 나온다.

참고로 vi 편집에 들어가지 않고 설정을 추가하고 싶다면, 위의 2~4번 단계 대신 아래 커맨트를 실행하면 된다.

echo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 ~/.zshrc

 

5. source 명령어를 통해 현재 Shell에서 변경된 설정을 바로 반영한다.

lazy@MacBook-M1-Pro % source ~/.zshrc

 

 

+ Recent posts